F-35에 적용된 기술과 잡다한 정보
천조국의 비밀스런 집단 록히드 마틴 ADP, 통칭 스컹크웍스
*스컹크웍스에 대해서 알아보기
여기서 만든 대표적인 작품은
현존 최고의 전투기 F-22가 있다
물론 오베이 법에 의해 판매가 금지되어있음
일본도 똥꼬 빨아가면서 구매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
그래서 나온게 다운그레이드 버전인 F-35
그래도 성능은 확실하다
오늘은 F-35와 거기에 적용된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자
먼저 F-35는 3가지 모델이 있는데
A모델
가장 기본형으로 공군용이다
난 부를때는 F-35A보단 CTOL 이라고 부름
사진: Lockheed Martin
B모델
해리어의 뒤를 이어서 나온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기체
해병대에서 주로 사용한다
얘도 F-35B보다는 주로 STOVL로 부름
사진: Lockheed Martin
그리고 C모델
얘도 F-35C보다는 주로 CV로 부름
주로 해군측이 사용하는데 썩 좋아하지는 않음
또 각 모델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는데
A모델의 특징은 내장된 기관총
B모델의 특징은 수직이착륙
C모델의 특징은 날개가 접힌다는 것이다
모델별 고유의 특징 덕분에 밀덕이 아니더라도 외관만으로도 어떤 기종인지 단번에 알 수가 있음
빠르고 높이날며 수직이착륙도 가능한데 스텔스까지 되는 F-35
이 신기한 기술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?
1. 엔진
빠르게 높이날기 위해선 당연히 좋은 엔진이 필요하다
P-38 라이트닝은 세계 2차대전에서 재미를 좀 본 전투기인데
조금 특별한 면이 있다
그것은 바로 엔진이 2개라는 점!
여기엔 재밌는 얘기가 있는데
"엔진 하나로는 충분한 마력이 안나옵니다!"
"그럼 하나 더 박어"
그래서 엔진 2개가 들어간 것이다
F-35에 들어간 엔진 역시 강력하지만
더 중요한건 추력:무게 비율이었는데
빠르게 높은 고도에 도달하기 위해선 추력:무게 비율이 1:1 혹은 추력 쪽이 더 커야한다
참고로 F-35는 1:1에 가깝고
B-2 폭격기는 1:1에도 못 미친다
추력:무게 비율이 추력쪽으로 높을수록 빨리 가속할 수 있다는 뜻
P-38도 엔진을 2개 박아서 추력이 2배로 높아졌고
대략 분당 천 미터로 상당히 빨리 높은 고도에 도달할 수 있었다
참고로 F-35 라이트닝 II 인 이유는
P-38의 정식 후계자이기 때문
2. 수직이착륙
최초로 도입된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해리어
F-35B 역시 그게 가능하다
이 기술은 어디서 나온걸까
잠자리처럼 생긴 독특한 비행기
1950년대 벨 헬리콥터에서 만든 수직이착륙 테스트기 벨 X-14
앞에 콧구멍처럼 생긴건 사실 엔진이다
왜 엔진이 여기있냐하면 기체 밑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
두둥!
바로 열이 배출되는 배기구다
간단하게 설명하면
엔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
배기구로 배출되는 열로 수직이륙하는 것이다
이렇게!
조종석에서 열 배출 방향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설계되었고
최초로 추력 벡터를 이용한 수직이착륙을 할 수 있게 되었다
그럼 단순 수직으로만 이동 가능한거야?
물론 아니다!
양 날개와 수직미익 끝 쪽을 보면
역시나 열 배출구가 있다
물론 닫기도 가능함
조종석에서 이걸 여닫기로 조절하면 요, 피치, 롤 모두 컨트롤이 가능해진다!!
회전과 전진하는 모습
B모델에도 똑같은 역할을 하는 롤 포스트가 존재한다
롤 포스트는 수직 착륙할 때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걸 방지해줌
50년대 리얼 공돌이들이 만들어낸 산물 벨 X-14
달에 갔던 닐 암스트롱도 이 비행기에 탑승했었다
3. 스텔스
드디어 메인디쉬다
5세대 전투기의 꽃은 뭐니뭐니해도 스텔스
스텔스 기술이 최초로 적용된 건 F-117, 통칭 나이트호크였다
*F-117 개발비화
*스텔스 관련 논문
*https://nsarchive2.gwu.edu/NSAEBB/NSAEBB443/docs/area51_10a.PDF
스텔스 기술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
1. 기체 모양
2. 스텔스 도료
물론 스텔스 기술에 끼친 영향을 보면
모양이 7 도료가 3정도로 모양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
도료 역시 중요는 하지만 모양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점
나이트호크는 당시 기술력으론 곡선 RCS 계산이 안되어서 평면을 썼는데도
F-35보다 RCS 값이 더 낮음
물론 요즘은 레이더가 많아 단순히 각지게 만들면 걸린다
그래서 나온게 바로 Planform alignment
네이버 검색해도 안나와서 그냥 영어로 적음
Planform alignment란 단면을 평행하게 만들어 같은 방향으로 반사되게하는 방법이다
그림으로 봐보자
F-22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
Planform alignment란
이렇게 면을 평행되게 만드는 기술이다
참고로 도면보면 저게 다 몇 도가 되어야한다 적혀있음
왜 이렇게 만드냐면
이렇게 만들면 레이더를 같은 각도로 튕겨낼 수가 있기 때문이다
다방향에서 쏘는 레이더를 뚫고 가기위해서 나온 기술 Planform alignment
F-35가 곡면임에도 스텔스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임
B-2 뒷모양 역시 Planform alignment 때문에 저렇게 만들어짐
개발중인 국산 첫 스텔스기 KF-X 역시 Planform alignment 를 가지고있는 모습이다
끝!!!
..내려고 했는데 몇 가지 잡다한 정보도 알아가보자
뭐부터 적을까하다 AA-1부터 적음
AA-1은 가장 처음으로 만든 F-35인데
만드는 방법이 조금 골때린다
2012년도에 올라온 비디오를 보면
현재는 왼쪽 날개 오른쪽 날개 따로 만들어서 동체와 합치는 반면
AA-1는 날개를 따로 만들지 않고 동체와 일체화 시켜서 생산했다
마치 배터리 일체화 시킨 아이폰과 갤럭시같음
물론 현재는 개발에 거듭해서 현재와 같은 생산 방식이 나옴
그리고 국가별 코드가 있는데
AF/BF/CF는 미국
BK는 영국
BL은 이탈리아
AM은 노르웨이
AN은 네덜란드
AS는 이스라엘
AU는 호주
AW는 한국
AX는 일본
AA-1이 가장 처음 만들어졌는데
그 다음 만들어진건 AF-1이 아닌 BF-1임
BF-1 다음에 나온게 AF-1이고
비유를 하자면 B모델은 개발자 버전이고
A모델은 안정 버전임
무언가 큰 변경이 있으면 무조건 B모델에 먼저 적용됨
그 외에는
F-35 KPP
이거 되게 중요한 건데 F-35 논하는 글에서
되게 찾기 쉬운건데도 언급하는거 한 번도 본 적이 없음;
F35 생산 프로세스
Public release라 쉽게 구할 수 있음
이것도 의외로 언급이 없어서 신기했음
진짜 끝!!